Folksonomy

Folksonomy란 social classification 또는 collaborative categorization이라고 얘기되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를 가리키는 일종의 buzzword입니다.Flickrdel.icio.us의 태깅(tagging)기능을 사용해보신 분이라면 아실겁니다.

드보락 아저씨는 이를 엄청나게 비판합니다. 결론이 대체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논지는 대략,

  • 원래부터 있던, 새로울 것이 없는 아이디어다.
  • 스팸(spam)과 파괴행위(vandalism)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하다는 이상주의에 기초하고 있다.

라는 것입니다. 게다가, Wired와 몇몇 유명한 블로거들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보이고 있군요.

원래부터 있던 기술이라는 것은 별로 중요한 얘기는 아닐 듯 합니다. 기술은 항상 끊김없이 흘러가는 것은 아니니까요. 기존에 있던 아이디어들이 환경이나 기술등의 제약에 부딪히고, 또 그것을 헤쳐나가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기술들도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Folksonomy도 기원을 찾으라면 충분히 찾을 수도 있을겁니다. 하지만, 현재와 같이 편리한 시스템을 가지게 된 것은 분명히 발전이라고 생각합니다. 시장은 오랜 역사를 가진 개념이지만, 세계를 편리하게 이어주는 증권 시장 시스템이 없었다면 증권 시장이 과연 오늘날과 같은 특성을 보일까요?

정말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하지 않을까요? 위키피디아를 보면 그렇지도 않은 것 같습니다. 위키피디아는 "Given enough eyes, …"라는 Linus’ Law를 기반 아이디어로 훌륭하게 컨텐츠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즉,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으면, 스팸이나 파괴행위도 별로 문제될 것이 없다는거죠. 설령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충분히 많은 사람들은 선한 것 같습니다. Folksonomy의 스팸 또는 파괴행위 문제도 앞으로 해결해야할 기술적 과제일 뿐이고, 크게 다르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social" 접두어를 가진 최근의 기술들은 한가지 성질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바로 사용자 한 사람 한 사람의 이해관계가 결집되어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창조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물론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예견되었을 법한 일이죠. 인터넷 자체가 복잡 시스템(Complex system)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social application들도 이러한 특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마치, 우리는 단순히 물건을 사러 혹은 물건을 팔러 시장에 나가지만, 그러한 사람들이 모여서 시장의 독특한 성질이 만들어지는 것과 마찬가지죠. 그래서, 우리는 시장에 가면, 단순히 물건만 살 수 있는게 아니라, 서로 흥정을 해서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살 수 있기도 하고, 여러가지 볼 거리도 구경할 수 있는거지요.

드보락 아저씨는 Folksonomy를 블로거들의 마지막 희망(bloggers’ last hope of invention)이라고 얘기합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인터넷이라는 플랫폼에서, 아직도 알려지지 않은 창발성(emergence)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분명 엄청나게 많이 있을겁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인터넷이 없었던 시절에는 꿈꿀 수 없었지만 사용자들은 분명히 원하는 그런 종류의 것들일겁니다. 드보락 아저씨는 분명히 미래를 잘못 짚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블로그의 시대에 살고 있는 저널리스트인 드보락 아저씨는 Disruptive Technology의 가장 직접적인 희생양일지도 모르겠군요.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