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BSE Spider

Eichmann D. 1994. The RBSE Spider – Balancing Effective Search Against Web Load

1993년은 여러가지 목적을 가진 웹 크롤러들이 출현하기 시작한 해였다. 예를 들어, 최초의 크롤러로 기록되고 있는 World Wide Web Wanderer는 웹의 크기와 성장를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졌다. 한편, RBSE Spider는 웹 검색엔진을 위한 크롤러로 만들어졌으며, 제목과 헤더들만 인덱싱하던 JumpStation과 달리 Full-text 인덱싱하는 검색 엔진의 일부분이었다. (이 때는 아직 검색 엔진과 크롤러의 구분이 모호했다.) 따라서, RBSE Spider는 웹 크롤러를 사용하는 최초의 Full-Text 검색 엔진이라고 볼 수 있다.

크롤러와 인덱서의 분리

크롤러의 architecture면에서 RBSE Spider는 크롤러를 인덱서로부터 분리했다. 크롤러와 인덱서를 분리함으로써 separation of concern의 효과를 얻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컴포넌트를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RBSE Spider는 크롤러가 웹 페이지의 발견(discovery)만을 수행할 뿐, 저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크롤러가 발견한 웹 페이지를 받아오기 위해서 인덱서가 다시 방문해야 했다.

Incremental Crawler

크롤러와 인덱서를 분리하지 않을 수 없었던 또다른 이유는 incremental한 크롤러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고, 크롤러가 incremental해야만 했던 이유는 robust한 (그러니까 잘 죽지 않는) 크롤러를 만들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들의 이유는 조금 우습지만, 현재는 웹의 크기가 커지면서 incremental한 크롤러는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Politeness

당시에 여러 목적의 크롤러들이 늘어나면서 크롤러가 유발하는 웹서버의 로드에 대한 우려가 생기기 시작했고, 이는 Koster의 Guidelines for Robot Writers라는 문서의 제안으로 이어졌다. RBSE Spider는 User-Agent 필드를 이용한 identification 등 Robot exclusion protocol을 따르며, 웹 서버에 로드를 주지 않기 위해 주의하고 있다.

상세한 구현

RBSE Spider의 크롤러 부분은 두개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하나는 mite라는 프로그램인데, 주어진 URL의 문서를 다운로드한 후, 문서 내에 포함된 URL들을 출력해주는 것이다. 다른 프로그램은 특정 패턴을 가진 URL들에 대한 링크를 mite를 이용해서 추출한 다음 source-target pair들을 Oracle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시 방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운로드에 실패하거나 링크가 없는 경우의 로그가 있다. Robot exclusion protocol에 따라 받아서는 안되는 URL들의 패턴들의 리스트도 있다.

페이지의 텍스트를 저장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초적인 크롤러의 기능들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인덱서 부분은 좀 더 단순하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URL들을 가져온다음 이들을 waisindexer라는 프로그램에 집어넣으면, waisindexer는 다시 mite를 사용해서 URL에 해당하는 페이지를 다운로드한 다음 이들을 인덱싱한다. 인덱싱 부분은 거의 WAIS의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써 relevance feedback도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검색 엔진의 역할

이 paper는 크롤러에 대한 Rationale로서 크롤러가 마치 지도와 같은 역할로,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에 바로 찾아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당시에 클라이언트 기반의 검색엔진 등이 있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옳은 주장이라고 생각되나 사실 현재에는 별로 의미가 없다.

당시에 증가하고 있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적으로 생성된 페이지들을 인덱싱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은 지금 생각하면 완전히 잘못된 것이다. 당시엔 아마도 각 사이트에서 제대로 인덱싱 되고 있는 페이지들을 따로 인덱싱하는 것은 낭비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한편, 크롤러의 역할로서 내용 유사도(semantic similarity)에 따른 가상적인 이웃 (virtual neighborhoods)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고 얘기하고 있다. 당시에는 아마도 하나의 사이트는 특정한 주제를 취급하는 사이트였을테고 그런 사이트 몇개만 알면 특정 주제에 대한 검색이 가능했겠지만, 그 때까지 그 사이트들 사이의 내용 유사성에 기초한 어떤 서비스는 없었을 것이다. 현재의 일반적인 검색 엔진에서 제공하는 유사 페이지 검색이라든가 버티컬 검색 엔진 등을 생각하면 일리가 있다. 이제는 특정 사이트 몇몇이 특정 주제에 대한 포탈이 되기 힘들고, 검색 엔진의 쿼리를 통해서 또는 버티컬 검색 엔진을 통해서 그러한 서비스를 하고 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