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per: Main Memory Database Systems: An Overview

H. Garcia-Molina and K. Salem. 1992. Main Memory Database Systems: An Overview. IEEE Trans. on Knowl. and Data Eng. 4, 6 (December 1992), 509-516. (PDF)

요약

1991-1992년에 쓰여진 이 페이퍼는 당시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연구들과 프로토타입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한 서베이 페이퍼라고 할 수 있다.

Introduction

먼저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흔한 질문들에 대해서 답하고 있다.

전체 데이터가 메인 메모리에 들어갈 것이라 가정하는 것은 합당한가?

  • 어떤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데이터의 크기가 메모리 용량의 증가보다 더 느린 속도로 증가할 수도 있고, 어떤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실시간 제약이 있어서 반드시 메모리 상에 적재되어야 한다.
  • 하지만, 메모리에 적재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도 존재하므로, 이러한 경우,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저장하고 가장 액세스 빈도가 높은 종류의 데이터를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실제로도 IMS의 사례에서 이를 보여주고 있다.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와 매우 커다란 캐시를 가진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충분히 커다란 캐시를 가지고 있다면 데이터가 항상 메모리 상에 존재하겠지만, 메모리의 장점을 전부 활용하지는 못한다.

  • B-tree와 같이 디스크 액세스를 위해 설계된 인덱스 구조를 가진다.
  • 디스크에 존재할 수 있는 데이터를 액세스하기 위해서, 메모리 상의 데이터를 액세스할 때에도 버퍼 매니저를 사용해야 한다.

특수한 하드웨어를 도입함으로써 메인 메모리가 nonvolatile하다고 가정할 수 있는가?

  • 배터리가 들어간 메모리 보드, UPS 등을 통해서 더 나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장애의 가능성을 0으로 줄여주지는 못한다.
  • 하지만, 신뢰성이 높아진다면 백업의 빈도 등을 줄여줌으로써 성능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 배터리가 들어간 메모리 보드나 UPS는, 디스크와 달리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어떤 일을 해야하는 ‘active’한 컴포넌트이므로 장애의 가능성에 기여한다.
  • 백업 메커니즘의 성능이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할 것이다.

Impact of Memory Resident Data

Concurrency Control

  •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은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에 비해서 짧아지므로 lock contention도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다.
  • 따라서,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좀 더 큰 lock granularity를 선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동시성 관리의 비용이나 CPU cache flush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 하지만, 여전히 짧은 트랜잭션과 수명이 긴 트랜잭션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은 필요하다.
  •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에서 lock table 대신, 오브젝트 자체의 1-2 bit를 사용해서 lock을 구현할 수 있다.

Commit Processing

  • 메모리는 volatile하기 때문에 commit 전에 디스크에 로깅을 하는 것이 필요한데, 디스크 액세스는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커다란 성능 bottleneck을 유발할 수 있다.
    • 디스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고 작은 stable memory를 도입해서 로그의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트랜잭션과 별도로 stable memory에 쓰여진 로그를 디스크에 기록하는 프로세스가 존재할 수 있다.
    • Precommitting – 로그가 디스크에 쓰여지기 전에 트랜잭션의 lock들을 릴리즈하는 방식 – 을 사용해서, lock contention을 줄여 다른 트랜잭션의 응답시간을 개선할 수 있다.
    • Group commit – 복수의 트랜잭션의 로그들을 메모리에 모아뒀다가 한번에 디스크로 flush하는 방식 – 을 사용해서 로깅 bottleneck을 완화할 수 있다.

Access Methods

  •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 구조를 위해 여러가지 형태의 해싱과 T-tree와 같은 트리들이 제안되고 있다.
  • 그러한 인덱스 구조들은 공통적으로,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데이터로의 포인터를 저장함으로써 메모리의 이점을 잘 활용하고 있다.

Data Representation

  • 튜플은 데이터로의 포인터 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 커다란 데이터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중복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 가변 길이 데이터를 포인터로 표현함으로써 데이터구조 디자인을 단순화할 수 있다.

Query Processing

  • 데이터에 대한 포인터 메커니즘을 이용해서 어떤 오퍼레이션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두 테이블을 하나의 attribute를 기준으로 join하려는 경우 그 데이터를 사용하는 튜플로의 포인터를 통해서 엄청나게 효율적으로 join을 수행할 수 있다.
  •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디스크 액세스를 줄이려고 했지만,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서는 CPU 비용을 줄이는 것에 집중해야한다.

Recovery

  •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트랜잭션들은 메모리 상의 데이터만을 이용하므로, 체크포인팅이나 복구가 디스크 상의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유일한 이유다.
    • 따라서,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체크포인팅에 최적화해서 매우 커다란 블럭 사이즈를 사용할 수 있다.
  • 복구할 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읽어들여야 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 블럭부터 로드하거나 여러 개의 디스크로부터 병렬적으로 로드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Systems

IBM에서 개발한 상용 제품인 Fast Path 이 외에 몇가지의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연구용 프로토타입들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고 있다.

내가 배운 것 & 생각한 것

  • 나도 품어왔던,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가장 기본적인 질문들 – 특히, “충분히 많은 메모리 캐시를 가진 디스크 기반 DB를 쓰면 되잖아?” – 에 대해서 명확하게 답하고 있다.
  •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처 상의 각각의 모듈 또는 기능들에 대해서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는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어떤 해결책을 고려할 수 있는지를 비교적 짧지만 매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쓰여져있다.
    •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고려해야할 빅 픽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의미에서 도움이 되었다.
    • “OLTP Through the Looking Glass, and What We Found There” 리뷰에서 언급한 것과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해결책에 대해서는 다양한 문맥에서 더 나은 진척들이 있기 때문에 이 페이퍼에 쓰여진 것만을 고려해서는 안된다.
  • 1992년 이후로 여러가지 변화 – 하드웨어의 발전, OS 및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발전,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연구 – 가 있었기 때문에, 몇몇은 현재 시점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것 같다.
    • Optane DC Memory와 같은 non-volatile memory가 제품화되고 있으므로, 이제 ‘passive’한 메모리 하드웨어가 생겨났다고 할 수 있다.
    • 결국 many-core 시스템의 이점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lock granularity는 중요한 것 같다. 다만, 데이터베이스 lock granularity를 가진 KeyDB가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보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
    • 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에 대해서는 많이 언급하지 않고 있다.
    • 이 페이퍼에서는 CPU 비용을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고 언급되어 있으나, 이후로 CPU 비용에 대해서 측정하는 방법이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