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to Software Engineering’ 과목에서는 Object-Oriented Design을 가르친다. 간단한 정의와 함께, UML design 과정에서 use case로부터 object를 골라내서 class diagram을 그리는 법은 가르친다. 하지만, 아무도 object-oriented programming paradigm 뒤에 들어있는 생각을 가르쳐주지는 않는다. (물론, 다룰 주제가 많은 software engineering 과목에서 OOP를 깊게 설명하기는 어렵다.)
OOP language를 쓰는 것은 일종의 유행이다. 모두들 그 이유를 잘 알지도 못하면서 OOP를 선호한다. 심지어는 그것이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말이다. 사실, 나도 그런 사람들 중의 하나였고, C를 사용한 procedural programming paradigm에 익숙해지고 난 후, 주로 OOP language (C++, Java, Python, Ruby, …)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계속 던지게 되는 질문은 OOP란 무엇인가, 대체 procedural programming paradigm보다 object-oriented programming paradigm이 무엇이 우월한가라는 것이었다.
‘Object Thinking’은 이러한 질문에 답변해주는 책이다. 즉, SE 과목에서 한두페이지의 페이지에 설명해놓은 것을 이 책에서는 300페이지에 걸쳐서 설명해놓은 책이다. OOP는 technique이 아니라 paradigm이다. 생각하는 방식은 누군가의 간단한 한마디 말로는 바뀌기 힘들다. (물론 그런 경우도 있다.) ‘Object Thinking’은 ‘object philosophy’, ‘object culture’란 말을 도입한다. 당연하게도, 사상(thinking)에는 철학(philosophy)이 전제되고, 문화(culture)가 따르고, 역사(history)를 가지기 마련이다. object thinking의 중심 원리(principle)들과 역사를 설명하고, 다른 philosophy와 culture와 대조를 함으로써 object thinking이 무엇인지가 조금씩 드러난다.
이 책에서는 단지 OOP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는 것은 아니다. OOP 외에도 software development의 여러가지 생각(thought)들을 object culture의 범주안으로 통합시킨다. 특히, XP와 같은 Agile software development가 여기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 책에서 얘기하는 ‘object thinking’은 단지 OOP가 아닌 것이다.
또, 이 책에서 설명하는 OOP는 Booch를 중심으로 표준화된 전통적인 SE 진영의 OOP와는 조금씩 다르게 보인다. 여러번 책에서 언급되는 Smalltalk community 쪽(이를 공식적으로는 어떻게 지칭하는지 모르겠다.)에서 발전된 생각으로 보인다. 한가지 예로, OOP에 관한 여러 책들에서 object란 data와 algorithm의 결합이라고 지칭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러한 생각을 과감하게 거부한다. object란 behavior로 정의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생각 한가지만으로도 object design에는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된다고 생각된다. (이 주제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다뤄보겠다.)
아직 번역서가 없지만, 여력이 된다면, 또는 언젠가 번역이 된다면, 반드시 읽어보라고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시간이 난다면, 이 책에서 인상 깊었던 생각들을 조금씩 블로그에 정리해볼까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