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결혼은 복잡한 사회 관계를 종합선물세트로 가져다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결혼에 의해 생성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cost가 들어가는 반면,
‘잘’ 유지할 경우, 결혼에 관련된 사람들에게 많은 사회적/정서적/경제적/성적(물론 이건 본인들에게만) 보상을 안겨다주기도 한다. (‘잘’이란 보통 sense & experience를 의미한다)
 
일단 금치산자가 되지 않는 한, 대부분의 사회 관계는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되어버린 것은
분명하다. 옛날과 달리 일반적인 생활에서도 대량의 사회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맺어야만 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결혼에 있어서 발생하는 사회 관계 선물 세트가 자신에게 필요한가 필요하지 않은가가, 자신이 그러한 양과 질의 사회 관계를 필요로 하느냐에 의존한다.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이 된 것은 그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같은 논의를 내 자신에게도 적용한다면, 내 삶에 있어서 결혼 자체  (결혼에 의한 이점) 가 목적 중의 하나가 되는지 여부와 또한, 결혼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경우, 내 삶의 어떤 모습이어야 하느냐가 결혼 여부에 대한 선택 기준이 될 수 있다.
 
결혼 문제에서 중요한 문제가 자식을 낳느냐의 문제인데, 이 문제는 결혼 문제와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자식을 낳느냐의 문제는 자신의 유전자를 보존하는 의미 외에도, 내 삶의 스타일, 자식에 의한 보상들, 배우자의 (유전적, 경제적) 선택, 배우자와의 합의 등 더 복잡한 문제들을 파생시키기 때문에, 결국 결혼 문제도 더 복잡해져버린다.
 
하지만, 결혼에 대한 ‘선택’을 해야한다는 가정 하에 내게 이런 모든 문제를 고려할 수 있는 능력은 없기 때문에, (고려할 경우 ‘선택’을 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실패에 이를 수 있기도 하거니와)
결국 몇가지 원칙을 세움으로써 많은 불필요한 논의를 배제할 수 있다.
 
– 내 삶의 모양을 결정할 것. (모험적인 삶, 범인의 삶)
– 무슨 삶인가.
– 이에 따른 결혼 및 자식의 고려.
 
이러한 원칙의 의미는 결혼과 자식이 무슨 삶의 모양과 무슨 삶이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둘 중의 하나를 우선 순위에 둘 수 밖에 없다는 것이고, 일단 삶의 모양과 무슨 삶이냐가 제 1, 2 우선 순위의 선택기준을 가진다는 것이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