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ebook

Paper: TAO: Facebook’s Distributed Data Store for the Social Graph (Part 1)

Bronson, Nathan, et al. “TAO: Facebook’s Distributed Data Store for the Social Graph.” USENIX Annual Technical Conference. 2013. Facebook은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사용자들의 포스팅, 이에 대한 코멘트 등을 MySQL에 저장하고 memcache에 캐싱하고 있었는데, 이를 개선한 TAO라는 시스템에 관한 페이퍼. geographically 분산된 단일한 인스턴스라는 점이 놀라운 점. 이후에도 설명되겠지만 graph abstraction만으로 Facebook의 주요한 데이터들을 표현한다는 것도 …

Paper: TAO: Facebook’s Distributed Data Store for the Social Graph (Part 1) 더 보기 »

Paper: Facebook Wormhole

Sharma, Yogeshwer, et al. “Wormhole: Reliable pub-sub to support geo-replicated internet services.” NSDI, May. 2015. Challenges to Adopting Stronger Consistency at Scale 논문을 소개할 때도 언급한 바가 있는 이 논문은 Wormhole이라는 페이스북의 스토리지 업데이트를 여러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기 위한 pub-sub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페이스북에서 사용자가 포스트를 올리면 데이터베이스의 쓰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쓰기 오퍼레이션은 다른 사용자의 뉴스 …

Paper: Facebook Wormhole 더 보기 »

Paper: Challenges to Adopting Stronger Consistency at Scale

AJOUX, Phillipe, et al. Challenges to Adopting Stronger Consistency at Scale. In: 15th Workshop on Hot Topics in Operating Systems (HotOS XV). USENIX Association. (pdf, slides) 최근 geo-replicated data store에서 높은 consistency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있다고 한다. – 이 논문에서 나열하고 있는 그런 논문들의 목록도 흥미로운데 이는 마지막에 한번 정리해보자. – Facebook에서도 사용자들에게 – …

Paper: Challenges to Adopting Stronger Consistency at Scale 더 보기 »

Article: An Inside Look at Facebook’s Approach to Automation and Human Work

An Inside Look at Facebook’s Approach to Automation and Human Work Facebook의 VP of Engineering인 Jay Parikh와의 자동화에 관한 인터뷰. 하드웨어의 실패에 따른 자동화된 진단과 복구를 위한 FBAR라는 자동화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FBAR에 대해서는 조금 오래된 글 (2011년)이지만, 다음 글에서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https://www.facebook.com/notes/facebook-engineering/making-facebook-self-healing/10150275248698920 We built a system we call FBAR, …

Article: An Inside Look at Facebook’s Approach to Automation and Human Work 더 보기 »

The Facebook Release Process

The Facebook Release Process by Chuck Rossi 사용자들이 항상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를 하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것은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것과 같이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많은 고민과 노력을 통한 좋은 프랙티스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그러한 프랙티스는 그다지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는 것 같다. 이 발표는 QCon SF 2012의 발표 중 하나로, Facebook의 Release Engineering을 2008년부터 지금까지 담당해온 …

The Facebook Release Process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