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포털, 그들이 한 곳에 모였다! 1부 요약
ZDNet Korea의 검색포털, 그들이 한 곳에 모였다! 1부 기사에 대한 요약.
상식 수준의 얘기네요. 적당히 용어를 수정하고 편집했습니다. 따라서, 내용이나 의도가 완벽하게 기사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미리 경고드립니다.
용어 수정 내역: 검색 서비스/검색 엔진, 한국/외국(미국, 구글), 웹(오픈 웹), 컨텐트(데이터), 사용자(유저), 요구(니즈)
검색 서비스의 평가는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에 의해서 평가되어야한다. 검색 서비스 경쟁력의 요소에는 검색엔진 자체의 기술력(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표준, 대용량, 글로벌)도 있지만, 기획력이나 컨텐트와 같은 요소도 있다. 검색엔진의 기술력에 있어서 구글과 같은 외국 검색 서비스에 비해서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고, 기술력 부분은 우선 순위가 밀린 것 뿐이다. 하지만, 모든 요소를 따졌을 때 총체적으로는 외국에 뒤지지 않는다. 오히려, 한국의 검색 서비스들은 사용자의 필요에 고도로 최적화되어있을 수도 있다. 물론, 그것이 정말로 사용자의 필요인가에 대한 의문의 여지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들의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요구가 생길 때, 기술력이 뒷받침된다면, 분명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것이다. 2-3년 정도는 이러한 문제가 없을 것 같지만, 미래를 내다볼 경우 걱정되는 측면이 있다.
외국의 검색 서비스는 웹 검색에 강하고, 국내 검색 서비스들이 웹 검색에 소홀한 것이 사실이다. 웹 검색에 집중한다고 해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지지는 않는다. 특히, 한국에는 웹 컨텐트가 부족하기 때문에, 한국의 검색 서비스는 컨텐트를 직접 생산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정말로 한국에는 웹 컨텐트가 없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야후와 같은 글로벌 업체의 경우에는 검색 서비스에 대한 평가 기준을 가지고 있다. 야후의 경우 그런 기준에는 elegance(적법성), comprehensiveness(?), freshness, presentation(사용자들이 즐겁게, 그리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가)과 같은 것이 있다. 검색 서비스도 서비스로서 평가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