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색 저널리즘(Yellow Journalism)이라는 잘 알려진 개념이 있다. 황색 저널리즘이 생산하는 선정적인 기사들은 사람들의 주목(attention)을 불필요하게 점유함으로써 좀 더 생산적인 언론의 기능들 예를 들면, 의제 설정 기능(agenda-setting function)과 같은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황색 저널리즘 자체가 가질 수 있는 장점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그러한 장점은 선정성을 통한 이익 추구에 의해서 가려지게 마련이다. (이 글에서 선정적인 기사란 무엇인가 또는 선정적인 기사가 가지는 가치 등에 관해서 논하지는 않겠다. 우리는 우리에게 좀 더 이득이 되는 기사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는 선정적인 기사에 대한 어느 정도의 공감대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인터넷 매체가 주요한 매체가 되기전부터 황색 저널리즘의 경계는 언론사, 매체, 기사들 사이에 뚜렷한 경계가 있었다. 주요 신문들의 헤드라인과 소위 ‘스포츠 신문’들의 헤드라인은 누가봐도 구분할 수 있다. 인터넷 매체가 점점 발전하면서 최근 1-2년 사이에 소위 ‘주류’ 신문이라고 부를 수 있는 신문사의 사이트- 인터넷 신문들이 변화하고 있다. 사이트의 첫 화면에 내거는 기사들의 반 정도는 선정적인 기사들에 속한다. 물론 종이 신문에서는 아직도 전통적인 의미의 헤드라인을 고수하고 있고, 웹 사이트에서도 그 기사들을 헤드라인이라는 분류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다. (수년간 조선일보의 첫 페이지를 현재의 것과 비교해보라.)
아마 이러한 변화의 경향은 주요한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와의 경쟁에서 비롯되었으리라고 생각한다. 뉴스 서비스의 소비가 인터넷으로 옮겨가기 시작하면서 전통적인 신문사들은 포털 사이트와의 경쟁에서 압박을 느끼기 시작했을테고, 결국은 이들을 베끼는 전략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현재는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의 첫 페이지보다 주요 신문사의 인터넷 뉴스 서비스에서 선정적인 기사를 찾아보기 쉽다.
종이 신문이 인터넷 신문을 대체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또다른 흥미로운 문제지만, 그 문제를 논외로 하고서라도, 인터넷 신문이 우리 생활에 막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언론을 접하는 대중들의 태도는 대체로 수동적인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대중들이 ‘무엇을 선택하느냐’ 이전에, ‘무엇이 주어지는가’하는 문제는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런 문제는 법이나 규제로 해결되지는 않는다. 언론사들의 책임 의식과 지식인과 시민 단체들의 언론사들에 대한 감시와 비판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대중들의 교육은 언제나 빼놓을 수 없는 해결방법이다.
무엇보다도 인터넷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언론들은 – 주요 포털 사이트들을 포함한 인터넷 뉴스 서비스들은, 설령 기사의 생산을 담당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이미 기사의 선별 과정을 통해 언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만큼 언론으로서의 책임 의식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한편,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들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선정성을 활용할 수 밖에 없다고 한다면, 그것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다른 성격의 서비스의 가능성은 없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