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s

민중적 민주주의와 매디슨적 민주주의 A Spectrum of Democracy

로버트 달(Robert A. Dahl)이 쓴 ‘미국 헌법과 민주주의‘ (How Democratic Is the American Consistution)의 한국어판에 최장집 교수가 쓴 한국어판 서문 中: 필자의 관점에서 민주주의는 상충하는 모순적인 요소들의 좋은 결합과 이를 통한 동태적인 균형 위에서 존립한다. 그것은 민주주의의 규범과 형식, 체제가 작동하는 규칙으로서의 절차적 측면과 체제의 작동이 창출하는 효과로서의 실질적 변화, 민중적 동력의 투입과 그 힘의 …

민중적 민주주의와 매디슨적 민주주의 A Spectrum of Democracy 더 보기 »

시위자에 대한 경찰 폭력 Police Violence against Protestors

최근 며칠간 아프리카를 통해 미국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의 현장 생중계를 보고있는데, 특히 어젯밤의 시위는 밤새 볼 수 밖에 없었다. 시위 참여자의 규모도 그동안의 시위 중 최대였으며, 그동안 간간이 사용하던 물대포를 밤새도록 사용했고, 근거리에서 시위자의 머리를 향해 물대포를 사용하는 바람에 부상자가 속출했다. 진압과정에서 주먹질과 발차기, 방패와 곤봉을 이용한 가격은 새삼스러울 것도 없었다. 아침 일찍 이명박 …

시위자에 대한 경찰 폭력 Police Violence against Protestors 더 보기 »

Demonstration

Episode 1. 2005년 회사에서 일하다가 학생의 신분으로 돌아간 나는 예전에 내가 학생으로서 권리를 주장하던 것들을 학교로 떠나 다른 위치에 있을 때는 완전히 까맣게 잊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물론 회사에서는 노동자로서의 권리에만 관심이 있고 그것을 찾는데에만 급급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던 중 2005년 초여름에 고등학생들이 교육 문제에 관한 몇번의 시위를 한 적이 있다. 당시에 듣던 역사 강의의 교수님은, 학생은 공부를 해야하지 시위를 해서는 …

Demonstration 더 보기 »

Communication

노무현 대통령은 “참여정부를 이끌어오면서 참 어려웠던 것은 소통의 문제”라며 “대화가 안되더라도 타협이 안되더라도 말귀는 서로 통해야 되지 않느냐. 말귀가 서로 안통하는 것이 요즘 너무 많다 ”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정책기획위원회 위원들과 가진 오찬간담회에서 저는 대화를 말하지만 사람들에게 그것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 같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같은 내용은 2일 국정홍보비서관실에서 당시 노대통령의 발언을 정리해 …

Communication 더 보기 »

정혜신

‘김대중 죽이기’의 서평을 쓰느라 책을 뒤적이다가, 재미있는 구절을 발견했다. 불행 중 다행히도 아직 우리 언론은 정치인들의 평가에 정신분석학을 도입하지는 않고 있다. 아니 다행이라고 볼 일은 아니다. 우리 언론은 정치보도에 있어서 아예 정신분석학의 흉내도 내지 않으면서 추리소설을 쓰는 경지에까지 이르렀으니 말이다. 특히 김대중에 관한 보도가 그러하다. (김대중 죽이기, 강준만, 개마고원, 1995) 강준만 씨가 아이디어를 줬는지 어쨌는지 …

정혜신 더 보기 »

정혜신의 '천하의 유시민을 어찌 당하랴만은'

정혜신의 ‘천하의 유시민을 어찌 당하랴만은’ 한겨레에서 정신분석을 통해 인물비평을 하는 칼럼을 쓰고 있고, 같은 내용으로 책도 낸 정혜신 씨가 오마이뉴스에서도 칼럼을 쓰는 모양이다. 자신의 정치적 의견을 피력하는데 정신분석 운운도 코미디지만, 최근에는 유시민 의원에 대한 비평 ‘천하의 유시민을 어찌 당하랴만은’ 이란 글을 썼는데 내용이 가관이다. ‘지적 권위주의’란 매사 논리로 상대를 제압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원래 권위주의란 게 …

정혜신의 '천하의 유시민을 어찌 당하랴만은' 더 보기 »

강정구 교수의 '맥아더를 알기나 하나요?'

강정구 교수의 ‘맥아더를 알기나 하나요?’ 2005년 7월 27일 강정구 교수는 데일리 서프라이즈에 ‘맥아더를 알기나 하나요?’라는 컬럼을 실었다. 이 컬럼의 내용은 맥아더 동상 철거에 대한 두 집단의 충돌이 폭력과 이념 분쟁으로 일관하는 당시의 상황을 비판하고 맥아더 동상 철거에 대한 나름대로 합리적인 주장을 제시한 것이었다. 그는, 맥아더가 분단의 원인을 제공했으며, 전쟁의 주도자이며, 전시 민간인 학살의 주범이라는 근거를 …

강정구 교수의 '맥아더를 알기나 하나요?'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