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OX reincarnated!

Windows Mobile 2003의 성능이 Xscale CPU 기기에서 대폭 향상되었단 얘기에, (일요일에 딥블군을 만나서 포켓몬하는 것을 보고?) 그동안 버려두었던 LOOX를 부활시키다. 기존엔 mp3 플레이도 부담스러웠었는데, 훨씬 나아진 느낌이 든다. 아직은 많이 써보질 않아서 확실하게는 모르겠고, FF5를 한번 플레이 해보아야 비교가 가능할 듯 하다.
 
롬업에 상당히 애로사항이 있었는데, 회사에서 하다가 집에서 시도하니까 바로 성공했다. (회사에 드라이버가 엉켰던가 USB쪽에 뭔가 문제가 있는 듯)
 
현재 깔아준 프로그램들은,
– Diopen 5.0 (시험판)
– PocketPlanner 1.0
– MorphGear
– ScreenCapture
 
그리고 투데이스피피시 룩스동쪽에서 보고되는 하드리셋 문제 같은 건 아직은 없는 듯 하다.

LOOX reincarnated! 더 읽기"

기대되는 10월 17일 개봉작들

  

Down With Love
르네 젤위거와 이완 맥그리거의 로맨틱 코미디.
이런 내 마음에 드는 남녀들이 연애질하는 영화라니.
혹평해주러 가야지. 울면서 나올지도. ㅠ_ㅠ

Matchstick Men
리들리 스콧, 니콜라스 케이지, 샘 록웰.
뭔가 기대할 법한 조합.

Rabit-Proof Fence
‘감동’이라, 최근에 느껴보지 못한 느낌.
‘-Proof’, ‘Fence’라 왠지 친근한 단어들.
호주영화라…
 

기대되는 10월 17일 개봉작들 더 읽기"

소풍


어제 팀 사람들이랑 올림픽 공원엘 간단한 소풍을 다녀왔다. ‘간단한 소풍’이란 이것저것 사가지고 점심식사 정도… 화창한 날씨에 풀밭에 앉아 지나다니는 애기들이랑 아줌마들 구경하기 정도…를 가리키는 듯 하다. 감이 열린 감나무들이 드문드문 있는 것이 신기하였다. 덕분에 잔디밭 여러군데가 출입이 금지되어 많이 걸어야 하긴 했지만.. 비공식적으로 진행된 이 외도 때문에 세라비군은 due date를 못맞춰서 고생중이라는 정보가 있다. (사진=백일하에 공개되는 수염세라비의 모습)

소풍 더 읽기"

귀찮아

언젠가부터 아주 자연스럽게 ‘귀찮아’는 다른 사람이 보기에 나의 생동함(또는 나의 예정된 죽음?), 나의 현명함(우하하!!!), 나의 물리학적 정의, 나의 의미없음만큼이나 나의 대표적인 성질이 되어버렸다. 적절한 변명을 꾸며대지 못하는 내 성격을 내 귀차니즘의 변명이라 하련다. 내가 차마 하기 싫은 것은 죽어도 하기 싫고, 진짜 싫다고 한다면, 내 순진한 친구들이 마음의 상처를입을까마 적당히 둘러대는 변명이라 하겠다.

‘귀찮아’라는 한마디는 매우 유용한 변명이라는 개인적인 의미 이외에도 좀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귀차니즘이 언젠가부터 매우 일반적인 신드롬처럼 변하면서, ‘귀찮아’라는 말은 그 본연의 포스트모더니즘적 성격을 잃어버렸다. 따라서, 귀차니즘에의 대입이 자의든 타의든간에 매우 싫어져버렸다. 남들이 많이 하는 것들은 아주 딱 질색이다.

그런고로, 나의 타고난 본성을 이겨내고 성실해져버릴 필요가 생겨버렸다. 귀차니즘과 성실이 아닌 제 3의 길은 과연 있을까?

귀찮아 더 읽기"

대장금

오랜만의 드라마 시청 프로젝트. 이영애보다도 장금의 아역배우가 마음에 든다. 내 결혼에 대한 positive 입장에 플러스 1점. (무..물론 무리가 있는 것은 알고 있다!) 전날 프로에서 예단에 대한 폐해 방영을 보고서 암울해 다시 마이너스 -2.

대장금 더 읽기"

바람난 가족

‘처녀들의 저녁식사’의 임상수 감독.

1,

이들은 어떻게 보면, 매우 평범한 가족의 구성원으로 보일 뿐이다.
안정된 가족의 모습, 적당한 외도, 남편과 아내의 완벽하게도 밸런스 있는 몸,
어린 아들의 나이답지 않은 생각..
스크린 상에서만 허용되는 이러한 평범하지 않은 ‘평범함’이 결함의 원천이 되어,
비롯되는 희비.. 정도의 매우 평범한 플롯.

2.

영화에서 줄곧 말하고 있는 바를 한마디로 하자면,
‘네 삶이나 똑바로 살아라’

‘내 삶에 너무 많은 간섭은 말아줘요’의 원칙을 고수하는 나로서는
강력하게 공감, 원츄를 던지고 싶은 심정이었다.

이러한 원칙은 많은 깨어있는 인간들의 경구이겠지만, (그렇게 생각하고 싶다)
감독의 히스토리를 생각하다보면,
여성들에게의 상징적 메시지가 결말로 가면서 점점 더 강렬해진다.
(특별히 이 영화를 여성적인 입장에서 볼 필요는 없겠지만)

결말 부근에서 호정이 섹스 중 울음을 터뜨리는 장면은,
굳이 페미니즘적인 문맥에서 해석하지 않더라도
자신을 한 독립된 인간으로서 자각하는 최고의 감동적인 장면이 아닐 수 없다.

3.

호정이나 그의 아들 수인이라는 캐릭터와
몇몇 장면에서 강조되는 바는 ‘솔직함’이다.
영작은 상대적으로 솔직하지 못한 캐릭터이다.
(자신의 애인에게만 솔직하다)

영화에 나오는 가족들 모두 kewl하거나 적어도 kewl한 척 하려하는
캐릭터이지만, 호정과 영작이 결국 결별하는 것은,
서로가 솔직함에서 가장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아서 였을까.
(물론 여러가지 다른 요인들도 있지만)

4.

영화를 보면서 왜 사람들이 웃을까 하는 질문을 던진다.
유머스러운 상황이라는 것은 그 ‘부적절함’에서 발생한다.
그들은 스크린 위에서 자신의 삶의 복제판을 보았기 때문일까,
아니면 그들을 아예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일까.
글쎄 둘다가 아닐까?

5.

내 기억력이 그리 좋지는 못하지만, 아마 한국 영화 중 열손가락
안에 드는 추천작에 충분히 꼽을 수 있을 듯 하다.

관객에게 어떤 식으로 해석되든 이 영화가 메가박스 1관에 걸린다는 것은
세상이 뭔가 변하고 있긴 한 모양이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바람난 가족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