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cess is transient, evanescent
Success is transient, evanescent. The real passion lies in the poignant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all the shading and subtleties of the creative secrets. —Konstantin Stanislavsky
Success is transient, evanescent. The real passion lies in the poignant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all the shading and subtleties of the creative secrets. —Konstantin Stanislavsky
Whatever failing prompted Cutler to mistreat people, his capacity for blocking out the ordinary distractions of life was his road to excellence. People rarely achieved greatness because they were too blinded by daily routine even to try anything extraordinary. For Cutler mediocrity was a failure of will, not talent. 커틀러가 사람들을 학대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이었든 …
한 5년 전에 모르는 것에 관한 글을 쓴 적이 있다. 그 땐 지금보다 모르는 것은 더 많았지만, 실은 모르는 것보다 아는 것에 더 익숙하다고 생각하던 시절이었다. 시간이 흐른 지금 돌이켜보면, 그 동안 더 많은 글을 읽고, 더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했지만, 아는 것보다는 모르는 것에 더 익숙해지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모르는 것은 불편하기 이전에 두려운 …
예전에 강유원 씨가 번역한 달인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이 책을 보면 ‘달인이 되는 다섯 가지 열쇠’ 중 하나로 ‘기꺼이 복종하라’라는 말이 있다. 사실 이 부분을 읽을 때에는 가르침을 비판 없이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대체 무슨 의미인가라고 생각하며 읽었고, 그저 ‘연습하고 또 연습하라’라는 지침의 확장 정도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최근에, 가난뱅이님의 “독서는 어릴 때 하는 거다”란 …
위키백과:중립적 시각으로부터 인용 (강조는 Joseph Jang): 중립적 시각은 대상에 대하여 서로 충돌하고 있는 확인 가능한 견해들을 다루기 위한 수단으로, 공표된 모든 관점을 공정하게 기술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어떤 관점도 실제보다 부각·축소되거나 “진실”인 것처럼 기술되어서는 안됩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견해만이 아닌, 공표되고 의미있는 여러 관점과 견해들을 독자들이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다른 견해들은 깎아내리는 …
‘오픈 마인드‘라는 글을 읽고 드는 단상과 반성. IT 비즈니스의 문제는 주어진 비즈니스 환경, 기술적인 환경 하에서 어떻게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것인가이다. 이러한 문제는 한 인간이 다루기에는 너무 복잡한 문제이므로, 역시 너무 쉽게 함정에 빠진다. 따라서, IT 비즈니스에 대한 명제를 세울 때는 다음 사항들을 고려할 것. 현재를 반영하는가? 현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가 되물어 볼 것. 특히, …
올블로그 서비스를 운영하는 블로그칵테일의 공채 최종 합격 통보를 했다가 번복하는 과정에서, 합격 취소 당사자의 감정을 상하게 하고, 이러한 내용이 블로그 상에서의 감정싸움으로 번졌습니다. 싸움에 해당하는 글들은 굳이 읽을 가치가 있는 글은 아니므로 링크는 하지 않겠습니다. 올블로그에 들어가지는 않지만, 제가 블로그를 구독하는 분들 중 네 분(강유원, 류한석, 이준영, 허지웅)이나 이 사건에 대해서 언급을 하셨네요. 겉으로 보기에는 …
http://inside.naver.com/smarteditor/ 블로거의 마음을 읽은 듯한 기능 리스트. (맞춤법 검사기!) 기능 프리젠테이션의 깔끔함은 어떻고. 네이버는 네이버 무비, 네이버 로컬 정도 빼고는 별로 안쓰지만, 가끔씩 사용자로서 감동을 느낄 때가 있다. 이런 감동은 다른 서비스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일은 아니다. NHN은 정말 무시무시하다.
Software Engineering 수업에서 Software Crisis를 언급하면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성공율은 극히 낮다는 얘기를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소프트웨어는 언제 성공했다고 얘기할 수 있을까? DDJ 2007년 10월호의 ‘Defining Success‘라는 글은 소프트웨어 IT 종사자들의 프로젝트의 성공에 관한 관념을 조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조사 중 하나는 Shipping when the system is ready is more important than shipping on schedule Providing …
스무아홉이 되면 서른이 된다는 생각에 무척이나 우울해진다는 얘길 선배들로부터 자주 들었는데, 실은 별로 그렇지 않았다.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너무 바빠서 그렇거니 하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다 어젯밤에 케이블에서 ‘싱글즈‘를 봤다. 며칠 있으면 새해다. 난 서른살이 되기전에 인생의 숙제 둘중 하나는 해결할 줄 알았다. 일에 성공을 하거나 결혼을 하거나. 난 여전히 일에 성공하지 못한 싱글이다. 그럼 어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