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MP
What nine of the world’s largest websites are running on이라는 글에 따르면, 여전히 LAMP (Linux, Apache, Mysql, PHP/Perl)이 웹 애플리케이션 세상을 지배하고 있는 듯하다.
What nine of the world’s largest websites are running on이라는 글에 따르면, 여전히 LAMP (Linux, Apache, Mysql, PHP/Perl)이 웹 애플리케이션 세상을 지배하고 있는 듯하다.
기술적인 논의가 항상 최상의 결론을 내리라는 법은 없으며, 차선의 결론 조차도 낼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모호하고 복잡한 문제가 아닌, 단순한 기술의 사용 여부와 같은 단순한 문제에서도 서로의 논거가 팽팽히 대립하여 논의가 끝이 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얼굴을 붉히는 이런 상황에서 흔히 사용되는 해결법은 결정권자-책임자의 결정이다. 서로의 논거가 충분히 합당함에도 불구하고, 서로 논거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
우리나라에서도 스타트업들의 웹 검색엔진들이 간혹 나오고 있지만, 검색엔진으로서의 기본적인 품질을 만족하는 것은 매우 드문 것 같다. 블로거스피어를 통해서 잠시 회자된다 하더라도 품질이 뒷받침 되지 않은 유명세는 의미없는 것이다. 검색엔진을 만났을 때 맨처음 해보는 쿼리는 두가지다. 바로 매우 일반적인 표제어에 해당하는 쿼리 – 나의 경우 주로 ‘C++’ – 와 최신성을 반영하는 쿼리 – 오늘 같으면 ‘원더걸스 …
초등학교나 중학교에 다니던 시절은 차라리 행복했다. 그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그를 좋아하고 곁을 지켜주는 사람들이 있었다. 전조는 아마도 고등학교 시절부터 였는지도 모르겠다. 가벼운 말다툼 후 둘은 서로 사과하지 않았고, 졸업 후에 만나서도, 가벼운 인사치레만 나눌 수 있을 뿐이었다. 그래도, 그는 그 친구를 이해할 수 있었다. 그는 그의 미래에 대해 생각하기도 전에 대학교에 다니게 되었다. 대학교 …
“If our job teaches us anything, it’s that we don’t know what the next President’s gonna face. And if we choose someone with vision, someone with guts, someone with gravitas, who’s connected to other people’s lives, and cares about making them better; if we choose someone to inspire us, then we’ll be able to face …
생물학자 줄리언 헉슬리(Julian Huxley)는 1912년에 복잡성을 ‘부분들의 이질성’이라고 정의했는데, 이는 일종의 기능적 불가분성을 뜻한 것이었다. 만들어진 신, 리처드 도킨스 어떤 일을 할 때는 항상 그 일에 맞는 ‘생각의 틀’이 필요하다. 최근 4개월 가량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완전히 손을 떼고 있었고, 그 생각의 틀을 조금씩 회복하는 중이다. 그러던 중 읽은 복잡성에 관한 정의는 내가 지금 겪고 있는 …
플랫폼이든 데이터든 독점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많은 사람들도 그렇게 (또는 그들은 악하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플랫폼 또는 데이터의 독점이 창출하는 수익을 포기하고 불확실한 수익에 리스크를 걸 정도로 멍청하거나 용감한 경영진은, 그리고 그것을 용납할만한 주주들은 드물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혁신은 다른 곳에서 이루어지는 (Innovation Happens Elsewhere) 이유일 것이다.
BusinessWeek.com의 기사 ‘So much data, relatively little space’에 따르면, IDC는 2006년에 인류가 생산한 디지털 정보는 161 exabytes라고 추정했다고 한다. Berkeley의 연구에서 추정된 2003년의 수치는 5 exabytes 이었던 반면, IDC는 2010년의 추정치를 988 exabytes (~1 zettabyte)로 보고 있다고 한다. 저장 용량 대비 저장 장치의 가격은 쉬지 않고 떨어지고 있지만, 저장할 정보의 크기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추정치와 저장 장비들의 가격을 통해서 정보의 …
예전엔 매뉴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단편적인 사실을 물어볼 땐 RTFM이라고 대답하는 것이 일종의 농담처럼 여겨졌지만, 사실은 옳은 방식이다. RTFM을 알고 있어도 그것을 자신의 습관으로 굳히기에는 쉽지 않아보인다. 그것이 바로 단편적인 사실을 물어보는 것에 RTFM이라고 ‘대답해주어야’ 하는 이유다. 같은 이유로 신입자의 문제를 도와줄 때는 모든 답을 제공해주어서는 안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영원히 시지프스의 노역을 하고 있는 것을 …
일반적으로 인간은 Context Switching에 익숙하지 못하며,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경우, 실수를 하거나 비효율적이 되기 쉽다. 회사에서 있었던 일이다. (내게 회사 말고 달리 심각한 사회적 관계가 있겠는가) A와 업무를 대화를 하고 있던 중에 대뜸 B가 자신의 업무를 해결하기 위해 다가와서 A와 대화를 시도한다. 덕분에 나는 멀뚱멀뚱 가만히 있어야하는 상황이 되어버린다. 나는 다른 업무로 돌아갈 수도 없다. 아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