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쿼런틴


Quarantine by Greg Egan
 
이 책의 제목인 ‘쿼런틴’이란 미래의 어느 시점에 미지의 존재에 의해 미지의 암흑 물질로 태양계가 ‘격리’된 상황을 가리킨다. 이 소설에서 그리고 있는 미래 사회는 나노 기술과 뇌신경 의학이 고도로 발달하여, 뇌의 기능을 대체 또는 강화 하는 각종 MOD들이 보편화 된 사회이다. (미래 SF물인 FPS RPG, ‘Deus Ex’와 유사한 배경이다!) 이러한 MOD들에 대한 상세한 기술만으로 전반부는 독자를 꽤나 즐겁게 만들어준다.
 
 어느 정도 읽어나가다보면, 저 유명한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언급하면서 ‘쿼런틴’의 유래가 밝혀지기 시작하는데 거의 맛이 가게 된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공학도에게 상식적이지만, 이어지는, 확산에 대한 평행우주론에 가까운 이론 전개는 좀 낯설고, 이해가 안되는 편이었다. 특히나 특정 관찰자만이 (특히 인간의 두뇌가) ‘확산’의 원인이라는 대목은 내 일반적인 상상력으로는 의아스러울 정도. 나는 고전역학적 인간에 가까운 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 정도 이론의 전개를 ‘그럴법하군’ 하고 이해하려면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구시대의 산물인 이 뇌를 MOD로 완전히 갈아치워야 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하하!) 아니면 이 사람은 순전히 사기를 치고 있거나. 어쨌거나, 이론은 아무래도 좋다, 친절하게 설명을 해주는 작가를 그저 흥얼거리며 따라가기로 하자. (작가의 이론에 완벽히 합의하더라도, MOD와 사건 진행에 이르면 약간씩의 허점이 눈에 띄기도 한다.)
 
 ‘확산’이 되지 않는 MOD를 가지게 된 주인공은 사건을 해결(?)해 나가면서 자기 자신이 ‘고유 상태(eigenstate)’의 자신인지 절대적으로 확신하지 못한다. 따라서 발생하는 ‘존재에 대한 물음’ 또한 꽤나 골치 아픈 생각할 거리를 제공해준다. 단순히 ‘기술적’인 측면에서만 바라보더라도 매트릭스 트릴로지에서 발생하는 자아에 관한 고민 따위는 저리가라의 수준이다. 양자역학이 초등학교 교과과정에 포함되는 시대가 올때까지 이 소설이 영화화될 리는 없겠지만. ;-)
 
 양자역학에 대한 여러가지 지식이 좀 더 많았더라면, 더 즐겁게 읽을 수 있었을텐데, 하는 생각이 들지만, 충분히 즐거운, 그리고 적당히 심각한 읽을만한 SF 소설이다.
 

쿼런틴 더 읽기"

신들의 사회

Lord of Light by Roger Joseph Zelazny
 
어떤 새로운 행성에 정착한 인간들이 과학 기술을 독점하고, 그 1세대가 스스로 인도 신화의 신이 되어 후손들을 지배하는 상황을 배경으로, 자신들의 진보된 과학 기술을 후손들에게 온전한 형태로 전해주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촉진주의자와 자연 상태에서 진보를 시켜야한다는 주장을 하는 신들의 투쟁을 그린다.
 
이러한 사전 지식 없이 이 책을 읽기 시작한다면, 어느 정도 지루할 지도 모르겠다. 겉으로 보기엔 신들간의 애증이나 영웅의 이야기를 다루는 고전의 형식을 띄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징(?)성을 감안하면서 읽는다면, 꽤나 즐거운 유희일 것이다. 이러한 아이디어가 소설의 형태로 나온 작품이 이전에도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고도로 발달된 유전공학기술이나 무기를 신화적인 초능력에 투사한 것이나, 1세대간의 관계나 ‘상’의 이전을 신들간의 애증과 변신으로 표현한 것은 매우 깔끔하다.
 
읽는 당시에는 매우 즐거웠으나, 읽고 나서 약간 불만스러운 것은, 기대한만큼 문학적으로도 세련되지 못한 듯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이다. 이것은 번역의 어쩔 수 없는 한계 때문일런지도 모른다. 아니, 어쩌면 ‘신들의 사회’의 명성에 대한 개인적인 기대 때문일런지도 모른다. 개인적으로 이러한 점은 SF 소설을 읽을 때, 꽤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고 B급 SF와 최고의 SF를 갈라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바로 과학 기술에 대한 고찰과 함께 현실적인 눈으로 특정 상황을 바라보면서도 문학 일반의 성취를 이루는 것. (그렇다고 신들의 사회가 B급 SF라는 것은 전혀 아니다.)
 
1세대가 독점하는 과학기술은 일종의 권력이다. (이것 조차도 과학 기술에 대한 특정한 의견이다!)
1세대인 많은 신들조차도 과학 기술의 소비자이며 뛰어난 과학/기술자인 ‘야마’에게 의존한다.
이러한 과학 기술 – 권력을 대중들에게 분배하기를 원하는 ‘촉진주의자’들은 (촉진주의자가 아닌) 1세대들에게 제1의 배격대상이다. 권력의 분배라는 일반적인 형태로 본다면, 이러한 문제는 인류의 역사 이래로 계속 반복되고 제기되어온 매우 일반적인 문제인 것을 쉽게 깨달을 수 있다. 젤라즈니는 이 소설에서는 과학기술의 소비자가 될 대중들도 양편으로 나뉘어 싸우지만, ‘촉진주의자’들이 퍼뜨린 과학기술로 말미암아 점진적으로 ‘신’들의 힘은 약해지고 실질적으로 ‘촉진주의’의 승리를 선언한다. 이러한 전체적인 플롯은 젤라즈니가 작품을 쓸 무렵 만연해 있었을 냉전시대의 자유주의와 공산주의의 대결을 강하게 연상시킨다. 실제로 젤라즈니가 자신의 현실에의 은유를 의도했든 아니했든 젤라즈니가 얘기하고자 하는 것이 과학기술 – 권력의 분배에 관한 것이며 독자들이 이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만든다는 것은 분명해보인다.
 
‘인도 신화’를 바탕으로 한 만큼, 인도 신화(힌두교?)에 나오는 많은 신들이 등장하며, 불교를 퍼뜨리는 1세대인 싯다르타 태자도 등장하지만, 그들의 속성이라든가 변신, 불교에 관련한 교리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전무해 제대로 즐기기가 힘들었다. 기회가 된다면, 한번 공부해보고 싶다.
(인도 신화와는 그다지 관련이 없는지는 몰라도 조만간 조셉 캠벨의 ‘신의 가면’을 읽을 예정)
 
그 외에, 신들간의 애증관계가 이 소설의 주요 plot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인간의 원형을 그리고 있는 신화에서도 그런 것처럼, 이것은 상당히 유치하다. (원래 사랑 놀음이라는게 그러한 특성을 가짐으로써 자신을 정의하지 않겠냐만은)
 
이른바 ‘젤라즈니의 최고 작품’이라고 일컬어지는 ‘신들의 사회’는 내가 지금까지 읽어온 SF들 중에서도 다섯손가락 중 하나로 꼽아줄 만 하다. (어떤 사람들은 ‘최고’가 아닌 것에 화낼 지도)
단편들이나 ‘전도서에 바치는 장미’ 만큼이나 상당히 만족감을 주는 젤라즈니를 좋은 번역서를 통해 또 만나볼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
 
 

신들의 사회 더 읽기"

C++ Programming Language 3rd edition

2000년 여름방학 때부터 읽기 시작했으니까, 한 3년 정도 읽은걸까. (물론 계속 읽은 것은 아니다) 그 당시 이후로 연애질 하느라, 또는 다른 책들을 읽느라 technical한 책들을 거의 읽지 않은 것 같다. 그리고 이제야 마무리를 짓는다.
 
책 내용의 quality에 대해서는 더이상 내가 comment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노파심에서 나오는 조언을 하자면, 이 책은 어느 정도 C++의 문법들을 대충 익힌 후부터 C++을 1-2년 정도 지속적으로 개발해본 경험이 생길 때까지의 기간에 읽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C++ language 자체나 C++ standard library (so called, STL)가 만들어진 의도-철학과 정확한 쓰임새를 알기위한 가장 권위있는 참고자료이다.
 
C++이 내 마음에 드는 편이고, 현재 job에서 C++의 지속적인 사용이 필요하게 되어서, 앞으로도 C++ 의 중급/고급 사용자가 되기 위한 공부를 계속 할 예정이다. 현재로서는 template을 사용한 template parametrization을 적절히 잘 사용할 수 있는 것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 (현재는 template 사용에 능숙하지 않아서 virtual과 template의 trade-off 상황에서 항상 virtual 쪽을 선택하고 있음)
 
읽어볼만한 책 리스트
– Effective C++: 이미 읽었으나, 다시 한번 읽어볼 것
– More Effective C++
– Effective STL
– Modern C++ Design: template 사용에 대한 최고의 책이라고 한다.
 
현재 C++ language에 대한 공부 외에도, OOP/CBD에 대한 이론적인 베이스나,
large-scale software architecture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은 편이기 때문에,
그러한 쪽의 공부도 병행해나갈 생각이다.
 

C++ Programming Language 3rd edition 더 읽기"